본문바로가기
남북정상회담
HOME
뉴스룸
소식
사진
영상
카드뉴스
전문가 말과 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베를린 구상
한반도정책
문재인의 평화 어록
공동보도문 자료실
2018 남북정상회담
평창에서 판문점선언까지
1차 남북정상회담
2차 남북정상회담
3차 남북정상회담
판문점선언과 그 후
평양공동선언과 그 후
교류와 협력의 한반도
걸어온 길
2000년, 벽을 넘어
2007년, 선을 넘어
한 눈에 보는 남북교류
평화 영상관
평화 사진관
국민과 함께
국민의 바람
평화 기원 릴레이
평화 프로필 만들기
외국어
한국어
English
中文
العربية
Español
Pусский
Français
Deutsch
日本語
Tiếng Việt
전체메뉴보기
전문가 말과 글
평양 남북정상회담, ‘남북관계 CVID’ 변곡점
4·27판문점선언 이후 한반도정세는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고 있다. 평양 남북정상회담은 2018년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인 동시에 한반도를 둘러싼 7번째 정상회담이다. 지난해 말까지 목도했던 날선 대립과 달리 남북미간 특사파견과 친서 전달은 이제 일상이 돼가고 있다.
2018-09-17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에 거는 기대
올해 들어 3번째 남북정상회담이 9월 18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열린다. ‘평화, 새로운 미래’라는 표어를 달고 열릴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에서는 4·27 판문점선언 이행을 촉진하고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의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2018-09-14
남북이 함께하는 ‘공동연락사무소’
오는 14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을 개최한다. 공동연락사무소는 4·27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 정상 간에 합의한 사항이다. 곡절이 있었지만 9·5 특사단 방북을 통해 개소식 개최에 합의함으로써 비로소 출범하게 됐다.
2018-09-12
남북경협 효과 ‘170조’ 추정 근거는?
평화가 경제다. 문재인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국책기관의 연구에 따르면, 향후 30년 간 남북 경협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최소한 17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합니다”라고 밝혔다.
2018-08-31
3차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종전선언
지난 7월 6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과 북미 후속회담 이후 조기 종전선언과 선(先)비핵화 조치를 강하게 밀어붙이는 북미의 대치가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2018-08-19
남북 철도·도로 ‘한반도 경협 동맥’ 잇자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에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토대로 남북 관계 발전과 공동번영으로 가는 큰 틀을 마련했다.
2018-07-17
남북철도 연결, ‘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 첫걸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남북정상회담 후,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 정식 서명했다. 남북 정상은 판문점 선언 1조 6항에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하여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간다’고 명시했다.
2018-07-17
한·러 정상회담 이후 ‘신북방정책’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6월 21~24일 러시아를 국빈 방문했다.
2018-07-05
평화를 향한 긴 여정의 첫 발걸음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림으로써 70년 동안 유지해 왔던 북미 적대관계를 종식하기 위한 첫발걸음을 내디뎠다.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서 북미정상이 평화를 선택하고 북미공동성명(센토사성명)을 채택함으로써 평화의 새 시대를 열었다.
2018-06-22
북미정상회담, 남북·북미관계 병행발전 추동력 확보
필자는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수행원으로서 6·15 공동선언의 탄생과정을 지근거리에서 지켜보았다. 6·15 공동선언은 적대적 남북관계를 청산하고 화해협력의 새로운 남북관계를 열어나가자는 두 정상의 약속이었다.
2018-06-14
«
1
2
3
4
5
6
»
TOP